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전자폐기물 처리방법, 어떻게 해야할까?!

by 냐옹이슈 2023. 12. 29.
728x90
반응형
SMALL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사회에서 뭐든 주기적으로 바꿔야 할 것 같은 심리도 발동함과 동시에, 각종 폐기물도 쏟아지고 있어 정부와 다수 업체, 비영리단체 등이 나서 다양하게 해결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골칫거리라고 한다.

최근 생활폐기물을 넘어선 것이 바로 전기·전자폐기물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IT 세상의 그림자인 ‘전자쓰레기’가 지속 증가해 2030년에는 7500만톤에 육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각 지자체마다 처리하는 방식이 달라 혼란이 제일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A 지차제는 재활용품함으로, B 지자체는 해당 주민센터에 마련된 소형가전 배출함에, C 지자체는 비용(폐기물 스티커 배부) 지불 후 수거 요청을, D 지자체는 재활용품 분리 수거일에 따로 배출하라는 등 여러 가지다.

 




실제로 서울과 경기 대부분의 아파트에서는 단지 내 해당 수거함에 버리면 동대표들과 협의한 전문수거업체에서 해당 요일에 와서 수거해간다. 휴대폰의 경우 전국 제조사의 판매 대리점을 이용하면 된다.

환경부와 e-순환거버넌스가 전국 4505곳에서 운영 중인 중소형 폐가전 수거함의 68%가 아파트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돼, 일반 다세대·독립주택 거주자들의 불만이 크디. 전기·전자폐기물을 줄이기 위해선 폐가전 수거함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수거를 잘해야 자원도 확보해 재활용할 수 있다.




대형가전은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해서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조사나 e-순환거버넌스에 수거 요청하면 무료로 방문 회수한다. 문제는 중소형 폐가전 처리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소형 제품은 5개 이상을 신청해야 방문 회수가 가능해, 수량을 채우지 못한 가정에서는 그냥 묵히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발생 시 번거로움을 감수할 수 있다면 삼성디지털플라자, LG베스트샵, 롯데하이마트, 전자랜드를 방문해 직접 배출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이 밖에도 순환자원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아파트와 주민센터 수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기차의 폐배터리도 재활용이 가능하다. 정부는 공단에서 운영하는 미래폐자 원 거점수거센터를 이용하라고 당부했다. 이는 거주 지역주민센터를 통해서도 확인·신청 가능하다.

 

 

 

 

 



외국에서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수거율을 높이고 있다. 독일의 경우 지역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슈퍼마켓에서 오래된 휴대폰과 손전등, 전기면도기 등을 회수하고 있다. 호주는 전자폐기물을 회수함에 넣으면 생필품을 구매 가능한 지역 포인트를 환전해준다.

국내에서는 여전히 스티커 부착과 수거함 이용이 전부다. 중소형 제품은 5개 이상이 되지 않으면 회수가 불가능해 불편함이 지속되고 있다. 다가올 새해를 맞아 집안 대청소를 계획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여전히 숙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