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가격은 그대로 몰래 용량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소비자 기만행위!

by 냐옹이슈 2023. 11. 27.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제품 용량을 슬쩍 줄여 우회적으로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과 가격을 유지하는 대신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스킴플레이션(Skimflation)’에 이어,이번엔 ‘번들플레이션(Bundle+Inflation)’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묶음 상품을 낱개 상품보다 비싸게 파는 식으로 눈속임하는 것을 말한다.

식품 업계 등의 폭리행위와 냉동식품, 가공식품 내용물을 줄이는 꼼수 가격 인상 등으로 정부가 칼을 빼 들었다고 한다.








지난 23일 한국소비자원은 이날부터 슈링크플레이션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조사 대상 품목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의 용량 조정 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2일 슈링크플레이션 관계부처인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식약처 등과 소비자단체, 한국소비자원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공정위와 관계기관, 업계 간 협력이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는 차원이다.






소비자원은 슈링크플레이션 관련 73개 품목, 209개 가공식품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해 내달 초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사업자와 자율 협약 체결을 추진, 단위 가격·용량 등의 변경 시 사업자가 스스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겠다는 계획도 발표됐다. 특히 소비자원 참가격 사이트에서 가격 변동 정보와 중량변동 정보까지 공개해 슈링크플레이션 상시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편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조홍선 공정위 부위원장은 이날 “슈링크플레이션은 일종의 기만적 행위로 인식된다”며 “시장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엄중한 문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단체에서도 다양한 품목에 대한 감시와 견제 활동을 통해 숨은 가격 인상이 있는 경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달라”며 “민간에서 정부에 건의하는 사항은 정책에 신속히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한편, 품목별 관리담당관까지 지정해 물가 대응에 나선 정부가 내년에도 주요 품목의 할당관세를 유지할 방침이다. 지난해(101개)에 비해 가짓수는 76개로 줄였지만 민생과 산업 부문의 주요 원재료는 그대로 포함시켰다. 관세 등 특혜에도 제품 용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등의 폭리 행위에 대해서는 실태조사에 돌입한다. 한국소비자원에도 대국민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관련 제보를 수렴하기로 했다.

22일 기획재정부는 내년도 정기 탄력관세 세부 운용계획을 담은 ‘2024년 탄력관세 운용계획’을 오는 29일까지 일주일 동안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입법예고 이후 관련 절차를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할당관세는 기본관세율의 40%p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관세를 적용하는 제도다. 정부는 그간 수입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자 할당관세를 통해 우회적으로 가격 인하를 유도해왔다. 다만 최근 물가가 안정세에 접어들며 대상 품목은 지난해 92개, 올해 101개에서 내년 76개로 조정했다. 정부는 "가격추이·FTA 활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품목과 범위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산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는 주요 원재료 관련 품목을 지원한다. 신성장 산업에서는 석영유리기판(반도체)·리튬니켈코발트망간산화물(이차전지) 등을 포함했고, 전통 주력산업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자동차)·니켈괴(철강) 등이 포함됐다. 취약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분산성염료(섬유)·사료용 옥수수(사료) 등 품목도 할당 관세를 적용한다.

물가안정 측면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주요인으로 꼽힌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반영했다. 식품용 감자변성전분·설탕·조제땅콩·닭고기·계란가공품 등 식품 관련 항목과 LNG·LPG(부탄, 프로판)·원유(나프타용, LPG용) 등 에너지 관련 품목이 대상이다. 특히 산업·발전원료는 국제유가 변동 등으로 수급불안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점을 고려했다.








다만, 변동성이 큰 LNG·LPG 및 나프타 등 유류 관련 품목 지원은 내년 상반기 중 지원규모만 우선 결정했다. 하반기 지원연장 여부는 내년 상반기에 다시 검토할 예정이다.

가격 대신 용량을 줄여 실질적인 가격 인상 효과를 내는 '슈링크플레이션'에 공정거래위원회도 칼을 빼들었다. 

조홍선 공정위 부위원장은 같은날 슈링크플레이션 관계부처와 소비자단체, 한국소비자원 공동으로 간담회를 열고 업계의 가격인상 움직임에 대응 방침을 밝혔다.

11월 말까지 73개 품목에 대해 슈링크플레이션 실태 조사를 완료하고 12월 초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은 한국소비자원에 신고센터를 설치해 대국민 제보를 받는다.







향후 가격 뿐 아니라 용량 변동에 대한 정보도 소비자원 '참가격' 서비스를 통해 모두 공개할 방침이다. 조 부위원장은 "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사업자 간 자율협약 체결을 추진해 업계가 숨은 가격인상을 자제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자 단체에도 "감시 및 견제활동을 통해 용량조정 등의 숨은 가격인상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 달라"고 요청했다.


 

SMALL

 

728x90
반응형
LIST